시사 및 이슈

220531_경제 & IT/과학

letsfuture 2022. 5. 30. 09:55

1. 메타버스란? 선도기업이 정의했다…제2인터넷 혁명 도래 [ICTF 22 종합]

  •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버스는 어디서든 누구와든 소통이 가능한 환경은 물론, 이용자들을 메타버스 세상에 묶어둘 수 있는 유인책으로 사회·경제적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데 의견
  • 메타버스가 산업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
  • 정부는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메타버스, 디지털 플랫폼 등 신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
  • 메타버스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메타버스 특별법 제정,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발굴 등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블록체인을 통한 신뢰 기반을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둘 것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676076?sid=105 

 

메타버스란? 선도기업이 정의했다…제2인터넷 혁명 도래 [ICTF 22 종합]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버스는 어디서든 누구와든 소통이 가능한 환경은 물론, 이용자들을 메타버스 세상에 묶어둘 수 있는 유인책으로 사회·경제적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n.news.naver.com

2. 네이버클라우드, SK증권에 AI 고객상담콜센터 구축 지원

  • 네이버클라우드는 코스콤과 함께 SK증권의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고객 상담 콜센터(AICC) 구축사업을 진행
  • 네이버클라우드는 SK증권의 사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최적화되고 지능화된 고객 상담 환경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올해 말까지 콜센터 전체를 금융 클라우드 기반으로 재구축할 계획
  • SK증권은 이번 사업을 통해 콜센터 인프라를 순수 클라우드향으로 전환
  • SK증권은 이를 위해 네이버클라우드 금융존에 호스팅돼 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인 글로벌 컨택센터 솔루션, 브라이트 패턴을 전면 도입
  • SK증권은 현재 검토 중인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화 전략의 선결과제로 AICC고도화를 추진하며, 추후 네이버클라우드, 코스콤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갖고 메타-파이낸스로 연결되는 로드맵을 만들어갈 계획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58468?sid=101 

 

네이버클라우드, SK증권에 AI 고객상담콜센터 구축 지원

네이버클라우드는 코스콤과 함께 SK증권의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고객 상담 콜센터(AICC) 구축사업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SK증권의 사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최적화되

n.news.naver.com

3. 팬데믹이 부른 '디지털 대전환'...선택 아닌 필수가 된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는

  • 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대전환'이 빨라지면서 공공·민간 할 것 없이 클라우드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됨
  • 각종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 공급망 관리, 유통, 직원들의 근무까지 전통기업의 모든 업무가 클라우드 기반으로 작동하면서 기업과 클라우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됨
  •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클라우드 시장규모는 올해 4,820억 달러(약 593조 원)에서 2025년 8,375억 달러(약 1,032조 원)까지 2배 가까이 급성장할 전망
  •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감염자 수 실시간 확인부터 온라인 수업, 소상공인 재난시스템 등 공공 부문에서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 및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
  •  윤동식 KT클라우드 대표도 "금융업계는 여전히 자체 서버와 데이터센터를 선호하지만, 핀테크가 성장하면서 콜센터 등 일부 부문을 시작으로 클라우드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함
  • 안정수 시스코 위협 인텔리전스 분석가는 "과거의 해킹이 정보유출을 빌미로 피해자에게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랜섬웨어를 통한 자료 복구를 이유로 금전을 요구하면서 확보한 기밀은 다크웹에 공개하는 '이중갈취' 형태로 진화했다"며 "향후 국내 기업을 노린 공격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디지털 레질리언스(복원력)' 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설명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78197?sid=105 

 

팬데믹이 부른 '디지털 대전환'...선택 아닌 필수가 된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대전환'이 빨라지면서 공공·민간 할 것 없이 클라우드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하이브리드 근무의 확산, 사이버 위협의 증가 등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 클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