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0509_IT/과학시사 및 이슈 2022. 5. 9. 11:35
1. 카카오브레인, 디지털 휴먼 만들 '얼굴교환' 기술 개발
- 페이스 스와핑이란 틱톡·스냅챗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본인 얼굴을 촬영한 뒤 다른 얼굴로 바꾸는 데 쓰이는 기술
- 이스 스와핑 시스템 모듈을 하나의 '아이덴티티 임베더'(identity embedder)로 대체해 복잡도를 줄였다는 설명
- 비디오가 재생 중인 상황에서도 페이스 스와핑이 가능
- 이번 모델로 가상 인플루언서, 쇼호스트, 아나운서 등의 디지털휴먼을 개발할 수 있게 될 전망
- 무스 스왑 모델이 페이스 스와핑 기술 분야의 혁신을 가속화해 메타버스와 미래의 디지털 휴먼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742999?sid=105
카카오브레인, 디지털 휴먼 만들 '얼굴교환' 기술 개발
카카오브레인은 새로운 페이스 스와핑 기술 '스무스 스왑'(Smooth-Swap) 모델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페이스 스와핑이란 틱톡·스냅챗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본인 얼굴을 촬영한 뒤 다른
n.news.naver.com
2. 흔들리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타콩즈 등 NFT 프로젝트 대거 탈주
- 국산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이 흔들리고 있음
- 국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프로젝트들이 메인넷(블록체인 네트워크) 오류와 글로벌 확장성을 이유로 떠나고 있기 때문
- 클레이튼의 글로벌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이 같은 결정의 배경
- 클레이튼은 여전히 '내수용 플랫폼'이라는 인식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음
- 클레이튼 강점으로 꼽힌 저렴한 가스비(Gas fee·NFT 매매 수수료)가 기존 25스톤(ston)에서 750스톤까지 약 30배나 인상된 것도 이유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811045?sid=105
흔들리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타콩즈 등 NFT 프로젝트 대거 탈주
국산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이 흔들리고 있다. 국내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프로젝트들이 메인넷(블록체인 네트워크) 오류와 글로벌 확장성을 이유로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메타콩
n.news.naver.com
3. 배달앱 "요금 재정비 불가피" vs. 점주 "부담은 우리 몫" [플랫폼 상생 딜레마]
- 소비자, 배달원(라이더), 음식점주 등 3개 주체가 참여하는 삼면시장인 배달플랫폼이 비즈니스모델(BM)을 찾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음
- 코로나19가 가져온 비대면 영향으로 음식배달 시장은 폭풍성장한 반면 업체 간 출혈경쟁으로 인해 적자폭이 커진 탓
- 기본형 기준으로 각각 중개수수료 9.8%와 6.8%에 배달비 6000원이 적용되는 새로운 요금제를 도입한 것
- 양사 모두 프로모션을 종료하고 수익성 개선에 나섰지만 플랫폼을 이용하는 점주들은 갑자기 올라간 수수료 부담이 과도하다며 거세게 반발
- 삼면시장인 배달앱 생태계에서 요금체계 재정비와 라이더 수급 관련 여론이 모아질 때까지 장시간 논의가 필요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832540?sid=105
'시사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11_경제 (0) 2022.05.11 220510_경제 & IT/과학 (0) 2022.05.10 220504_교육/마케팅 (0) 2022.05.04 220503_IT/과학 (0) 2022.05.03 220502_IT/과학 (0) 2022.05.02